![](https://blog.kakaocdn.net/dn/AfyFr/btrn4qwgUA3/Z8IqtRwGo2bcF8l8kT4Wx1/img.png)
README파일을 작성하기 전에 다른 저장소에서는 README파일을 어떻게 사용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README 파일은 markdown(마크다운) 문법을 사용하기 때문에 확장자는 .md를 사용합니다. README는 단순히 텍스트만 나열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제목과 본문을 다르게 표현하거나 글씨체를 바꾸는 등 여러 서식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이미지나 외부 링크도 넣을 수 있습니다.
작성
![](https://blog.kakaocdn.net/dn/nCBBe/btrn6Pa1haq/IcpwsLgh2n91zgky0B2mMK/img.png)
README파일을 만들기 위해서는 레포지토리안에서 해당 버튼을 클릭하면 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RblVd/btroar72QYy/c5t3f3jRpG504vAwFBYZlk/img.png)
버튼을 클릭하면 이런 텍스트 편집기가 나오는데 줄을 바꾸려면 Enter를 두 번 눌러서 빈줄을 만들어주셔야 실제 화면에서 줄바뀜이 되어 나타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I1i8w/btrn83zzp1u/H1LdBAQ4BTYcQowZ2uBz0k/img.png)
Preview를 클릭하면 미리보기를 볼수 있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XOR42/btrobGjzdhe/B9KjKULkL1HQ1O4XDNF040/img.png)
커밋 메세지를 추가하고 아래쪽에 Commit new file을 클릭하면 커밋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PjiU7/btrn6OXsz5V/NUHBjD8ZimNjPSMTg9JxS1/img.png)
이렇게 커밋된 README는 레포지토리에 들어가면 하단에 보여집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wtW50/btroasFSBcl/fOKeO3fcCRugr4TUeVedy0/img.png)
README의 우측상단 연필모양 이미지를 클릭하여 수정할수 있습니다.
markdown 문법
README 파일의 확장자가 .md인 것은 마크다운 이라는 형식으로 작성되기 때문입니다. 마크다운은 사용이 쉽고 HTML 태그에 비해 간단하기 때문에 문서 작성이 편리합니다. 단 마크다운을 지원하는 프로그램이나 사이트에서만 사용할 수 있습니다. 깃허브에서 README.md파일을 작성할 때 자주 사용하는 마크다운 문법이 몇가지가 있습니다.
제목
제목을 입력할 때는 텍스트 앞에 #을 붙입니다. #을 한개에서부터 여섯개 까지 붙여서 제목 글자크기를 정할 수 있습니다. #과 텍스트 사이에는 여백이 있어야 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dMEJrI/btrn6OXsxLA/zm09wHjBxUlhAyuTsVRkO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cfxY3t/btrn7q25kix/cRVA4QP98ZlyhoSKuWZoa1/img.png)
텍스트 줄바꿈
텍스트 단락에서 줄을 바꿀 때는 Enter를 두 번 눌러 적용해야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QYApH/btrn22WHdal/oPfhmKwrkt9Qg5vLG4ZSo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OC98D/btrn6Q11EGr/VkP1JpLfGRcNA6B4BnJGq0/img.png)
엔터를 한번만 적용할 경우 이와 같이 줄바꿈이 되지않습니다.
![](https://blog.kakaocdn.net/dn/cnwWpN/btrn4r9KlH1/FwVXtQvJWsf96jk4iyE21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dIalTf/btrn77bal5z/azfUk5JMkqKR0IHIXnp1UK/img.png)
줄바꿈을 위해서는 이와같이 Enter를 두번 적용해야합니다.
가로 줄
![](https://blog.kakaocdn.net/dn/cUV9yX/btroatx1lXN/0iELkmVG8NKG0Un6gcqwl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clg2Cv/btrn55rTmdJ/RXNo2UBgdngewAUCOyJf4k/img.png)
가로줄을 적용하기 위해서는 이 방법중 하나를 사용하면 됩니다.
순서 있는 리스트
![](https://blog.kakaocdn.net/dn/coyLc0/btrobGjzdjx/CemDaQCr22FHqayEO0sQ2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CsRBP/btrn21cqgCq/QsX1ehC0qNGjvIZgKpccKk/img.png)
리스트는 항목 전체가 하나의 단락이기 때문에 Enter를 한번만 적용하여도 줄바뀜이 됩니다.
또한 순서대로 1, 2, 3, 4, 5처럼 작성하지 않아도 순서대로 정렬되어 나타납니다.
순서 없는 리스트
![](https://blog.kakaocdn.net/dn/bk8P7d/btrn55FoIpP/7MhOa1G4YjIO2Y6EDkwkg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cha37V/btrobHbIPkl/xn63kGufdMuCLjKTwBhHd1/img.png)
이처럼 순서 없는 리스트를 적용하기 위해서는 -, *, + 등의 기호를 사용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zGYG7/btrn6PouIxh/7y2EkrqTXVjTZ1c0ilYeg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5MnNv/btrn82tUi2A/KCxTraoljkEykTmCLg3TfK/img.png)
이처럼 리스트 안에 리스트를 만들 수 있으며 -, +, *기호를 섞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텍스트 강조
굵게 : 텍스트의 앞뒤를 ** 또는 __로 감싼다.
기울임체 : 텍스트의 앞뒤를 * 또는 _로 감싼다.
굵은 기울임체 : 텍스트의 앞뒤를 *** 또는 ___로 감싼다.
취소선 : 텍스트의 앞뒤롤 ~~로 감싼다.
![](https://blog.kakaocdn.net/dn/c4BUjA/btrn6QgIp9O/bO6Vz6kNuFBEoGXK5xaIg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oE4QJ/btrn7qWlsbK/mRqA5n99C1dQ9V7Vp25pX0/img.png)
인용
![](https://blog.kakaocdn.net/dn/o93pu/btrn77CfgPm/1NAEWBDID4Ym9oEkTrXc71/img.png)
![](https://blog.kakaocdn.net/dn/HP3Hj/btroasMDHA3/nq4C6Hqs0julkQDIlkOJY1/img.png)
인용문을 삽입할 때는 인용문의 첫 번째 줄 앞에 >를 추가합니다. 인용문 안에 또 다른 인용문을 삽입하려면 >>를 추가합니다.
소스코드
![](https://blog.kakaocdn.net/dn/bjDHeI/btrn7q9Raco/kkFfekuSTQnyNupwb4Ipa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sr71I/btrn6y8pK8O/TLHOs2s85Kn8voIazTqIX1/img.png)
텍스트 사이에 소스 코드를 삽입하려면 `(백틱) 기호를 사용합니다. 이 기호는 쉼표가 아니라 주로 키보드 1의 왼쪽에 있는 ` 로 그레이브(grave)키라고 부르며 백틱(backtick) 또는 백쿼트(backquote)라고도 부릅니다. 소스 코드로 표시하면 고정폭(fixed-width) 글꼴로 나타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bsrEGz/btrobG4XjK9/4A94tmhUKFsd2Ig0xblEO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beWza/btroasFSA2Y/NAGB13nqWEkwJZnf8UzEZK/img.png)
여러줄 소스코드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을 사용하고 ```뒤에 프로그래밍 언어를 함께 지정해주면 해당 언어에 맞는 소스 형태로 표시됩니다.
링크
링크 삽입 방법
1. <링크 주소>
2. [링크 텍스트](링크 주소)
3. [링크 텍스트](링크 주소, "부가 설명")
![](https://blog.kakaocdn.net/dn/zqMZi/btrobHQkhmJ/p8T9HlKkPFknwOMsWInsv0/img.png)
![](https://blog.kakaocdn.net/dn/cxluDl/btrn76J8Ey8/yhLkj2MyM48uTLNtsBmhH0/img.png)
맨아래 링크에 마우스를 올리면 부가 설명이 나옵니다.
이미지
마크다운에서 이미지를 삽일할 때는 맨 앞에 !를 붙인 후 대체 텍스트와 이미지 파일 경로를 지정합니다. 그런데 이미지 파일이 경로를 가지려면 웹에 올라와 있어야합니다. 웹사이트를 운영하고 있다면 웹사이트에 이미지 파일을 올린 뒤 그 경로를 가져와 사용하면 됩니다.
![](https://blog.kakaocdn.net/dn/MH4It/btrobHCMMmR/zkSK3OZY9JeibCj7Kfbvok/img.png)
![](https://blog.kakaocdn.net/dn/bcJkmg/btrobHQkhJ5/ka9y3a1qaizFRPjdAR5CGk/img.png)
아니면 깃허브에 이미지를 올리고 README에 삽입할수 있습니다. 이방법은 나중에 조금 자세히 다룰수 있는 기회가 있다면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Git > Github'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 GitHub] 협업하기 (0) | 2022.06.28 |
---|---|
[Git & GitHub] 원격 브랜치 정보 (0) | 2022.06.27 |
[Git & GitHub] 여러 PC에서 원격 저장소 함께사용하는법 (0) | 2022.06.26 |
[Git & GitHub] 깃허브 SSH(Secure Shell) 원격 접속 (0) | 2022.06.25 |
[Git & GitHub] 원격저장소에 파일 올리고 내려받기(push & pull) (0) | 2022.06.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