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DOCTYPE html>
<html>
<head>
<meta charset="UTF-8">
<title>string</title>
<script type="text/javascript">
function strTest04(){
var str = "홍길동 이순신 유재석 강호동 홍길동 김선달";
// indexOf : 왼쪽 -> 오른쪽 검색
// lastIndexOf : 오른쪽 -> 왼쪽 검색
// 만일, 검색하는 단어가 없으면 -1 반환
var prop = prompt("검색할 이름을 작성해 주세요");
alert("indexOf : " + str.indexOf(prop));
alert("lastIndexOf : " + str.lastIndexOf(prop));
}
function strTest05(){
var strVal = "문자열 추출하기. 관련 메소드 : indexOf,substring.";
var start = strVal.indexOf(":");
var end = strVal.lastIndexOf(".");
var res = strVal.substring(start+1, end);
alert(res);
// indexOf,substring
var splitVal = res.split(",");
for(var i = 0; i <splitVal.length; i++){
alert(splitVal[i]);
}
}
function strTest06(){
var prop = prompt("쉼표로 구분하여 키워드를 입력하세요", "예)사과,바나나,키위,수박");
var splitVal = prop.split(",");
var res = "";
for(var i = 0; i < splitVal.length; i++){
res += splitVal[i] + "<br>";
}
document.getElementById("key").innerHTML = res;
}
</script>
</head>
<body>
<p>문자열 검색하기
<button onclick="strTest04();">클릭</button>
</p>
<p>문자열 추출하기
<button onclick="strTest05();">클릭</button>
</p>
<p>키워드 나누기
<button onclick="strTest06();">클릭</button>
<div id="key"></div>
</p>
</body>
</html>
function strTest04(){
var str = "홍길동 이순신 유재석 강호동 홍길동 김선달";
// indexOf : 왼쪽 -> 오른쪽 검색
// lastIndexOf : 오른쪽 -> 왼쪽 검색
// 만일, 검색하는 단어가 없으면 -1 반환
var prop = prompt("검색할 이름을 작성해 주세요");
alert("indexOf : " + str.indexOf(prop));
alert("lastIndexOf : " + str.lastIndexOf(prop));
}
"홍길동 이순신 유재석 강호동 홍길동 김선달"이 저장 되어있는 변수에 indexOf 를 사용했을때는 왼쪽에서부터 문자를 찾습니다.
따라서 0이 출력이 됩니다. lastIndexOf의 경우 오른쪽부터 찾게 됩니다.
오른쪽부터 왼쪽으로 순차적으로 문자를 찾지만 문자를 발견하면 그 문자의 index는 왼쪽부터 계산합니다.
function strTest05(){
var strVal = "문자열 추출하기. 관련 메소드 : indexOf,substring.";
var start = strVal.indexOf(":");
var end = strVal.lastIndexOf(".");
var res = strVal.substring(start+1, end);
alert(res);
// indexOf,substring
var splitVal = res.split(",");
for(var i = 0; i <splitVal.length; i++){
alert(splitVal[i]);
}
}
function strTest06(){
var prop = prompt("쉼표로 구분하여 키워드를 입력하세요", "예)사과,바나나,키위,수박");
var splitVal = prop.split(",");
var res = "";
for(var i = 0; i < splitVal.length; i++){
res += splitVal[i] + "<br>";
}
document.getElementById("key").innerHTML = res;
}
spilt은 제가 자바를 사용할때 정말 많이 사용하는 함수입니다!
spilt 함수에 문자를 자를 기준으로 사용된 것으로 잘라내어 배열로 만들어줍니다.
728x90
'JS 관련 > Java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Script] 팝업창!(pop up) (0) | 2022.01.22 |
---|---|
[JavaScript] 배열(Array) (0) | 2022.01.21 |
[JavaScript] String(문자열 합치기, 동등연산자(==), === 연산자 등) (0) | 2022.01.19 |
[JavaScript] math (0) | 2022.01.18 |
[JavaScript] date(날짜) (0) | 2022.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