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ython

    [Python] 제어문 - while문

    [Python] 제어문 - while문

    while문도 for문처럼 반복문입니다. ​ i = 1 while i

    [Python] 제어문 - for문

    [Python] 제어문 - for문

    subject = ['java', 'javascript', 'python'] for i in subject: print(i, end=' ') else: print('재밌다.') 위의 코드는 subject에는 'java', javascript', 'python'이 담긴 리스트가 있습니다. 이러한 리스트를 반복하는 경우입니다. for i in subject: 아래에 print(i)만 써도 출력이 되지만 , end=' '는 한줄로 출력시키기위해 작성한 코드입니다. 보통 else는 조건문에서 조건문 중에서도 if문에서 자주 보았을텐데 파이썬에서는 반복문에서도 else를 사용합니다. else: 에 해당하는 명령은 반복문이 정상종료 되었다면 실행됩니다. ​ for i in range(1, 10): print(i, ..

    [Python] 제어문 - if문

    [Python] 제어문 - if문

    if문을 표로 나타내면 이와같은 형태입니다. 어떤 조건이 주어지고 참이면 참에 해당하는 명령을 수행하고 아니면 다른 명령을 수행하거나 수행하지 않고 문법을 빠져나옵니다. ​ a = 1 if a == 1: print('a==1') if a == 2: print('a == 2') else : print('a != 2') b = 3 if b == 1: print('b == 1') elif b == 2: print('b == 2') elif b == 3: print('b == 3') else : print('b ??') a = 1이라는 변수가 주어졌을때 첫번째 if문의 경우 조건이 참이기 때문에 명령을 수행합니다. 또한 두번째의 경우 조건이 거짓이기 때문에 else의 명령을 수행합니다. else는 위의 모든 조..

    [Python] split, join

    [Python] split, join

    split str01 = 'Hello, World!\nHello, Python!' print(str01) str01이라는 문자가 있습니다. 이 문자를 split을 이용해서 쪼개보려고합니다. ​ arr01 = str01.split(' ') print(arr01) 공백단위로 쪼갭니다. ​ arr02 = str01.split('\n') print(arr02) \n단위로 쪼갭니다. ​ arr03 = str01.split(' ', 1) print(arr03) 공백 단위로 한번만 쪼갭니다. ​ import re arr04 = re.split('[\s]|[,]',str01) print(arr04) 공백이나 , 단위로 쪼갭니다 ​ join # join arr05 = ['1', '2', '3', '4'] print(ar..

    [Python] 정규식(regular)

    [Python] 정규식(regular)

    정규식은 흔히 웹사이트같은경우 kangcine@naver.com 과 같은 형태로 이메일을 만들어야합니다. 이러한 경우가 아니면 다시 입력받을수 있도록 만들어주는 것을 말하는데요. 이메일 말고도 최근에는 안전한 비밀번호를 위해 비밀번호에도 사용됩니다. (10자이상, 영문과 숫자가 섞인 비밀번호) ​ Regular Expression . : 문자 1개 ^ : 문자열의 시작 $ : 문자열의 마지막 [] : 문자 집합 | : or () : 괄호 안의 정규식 그룹 * : 0 or more + : 1 or more ? : 0 or 1 {n}: n번 반복 {n, m} : n번 부터 m번 {n, } : n번 부터 무한 ​ ​ r 문자열 표기법(re 모듈 확장 문법) \w : [a-zA-Z0-9_] -> a~Z, 0~9..

    [Python] operator(연산자)

    [Python] operator(연산자)

    1. 산술연산 # 산술연산 a = 21 b = 2 print(a + b) print(a - b) print(a * b) print(a ** b) # a의 b승 print(a / b) print(a // b) # 몫 (floor division) print(a % b) ​ 연산자 설명 a + b a와 b를 더한 값을 출력합니다. a - b a에서 b를 뺸 값을 출력합니다. a * b a와 b를 곱한 값을 출력합니다. a ** b a^b 즉, a의 b승을 출력합니다.(a의 b제곱) a / b a에서 b를 나눈값을 출력합니다. a // b a에서 b를 누난 몫을 출력합니다. a % b a에서 b를 나눈 나머지를 출력합니다 ​ ​ 2. 비교연산 a, b = 5, 3 print(a == b) print(a != ..

    [Python] built in(형변환)

    [Python] built in(형변환)

    int() print(int(True)) print(int(False)) print(int(12.34)) print(int('56')) 보통 ture는 1 false는 0으로 표현합니다. 이처럼 True와 False도 int형으로 변형시킬수가 있습니다. 파이썬에서의 Ture와 False는 대문자로 시작합니다. 실수형인 12.34를 int형으로 바꾸게 되면 12를 출력하며 문자열 '56'은 56으로 변환됩니다. ​ float() print(float('3')) 3을 float타입으로 변환시키게 되면 3.0이됩니다. ​ str() a = 100 # print('a:' + a) print('a:' + str(a)) 이전에 타입이 다르면 연산이 불가능하다고 했었습니다. 하지만 문자열에 문자열은 연산이 가능합니다..

    [Python] dictionary(딕셔너리)

    [Python] dictionary(딕셔너리)

    파이썬에서 딕셔너리(dictionary)란 사전형 데이터를 의미하며, key와 value를 1대1로 대응시킨 형태입니다. 이때 하나의 key에는 하나의 value만이 대응됩니다. 자바에서의 Map과 비슷한 형태입니다. 이 때, key 값은 절대로 변하지 않으며 value 값은 변경할 수 있습니다. 튜플과 다르게 key-value 쌍 자체를 수정하거나 삭제할 수 있기 때문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 ​ dict01 = dict() dict01[1] = 1 dict01[2] = 2 print(dict01) 함수를 통해 딕셔너리를 만들었습니다. key 1에 1이라는 값을 넣었고 key 2에 2라는 값을 넣었습니다. 따라서 출력하면 {1: 1, 2: 2}가 출력이 됩니다. ​ dict02 = {} dict..

    [Python] set(집합)

    [Python] set(집합)

    파이썬에서 set(집합)이란 중복되는 원소 없이, 순서에 상관없는 데이터들의 집합입니다. 데이터의 중복을 허용하지 않기 때문에 중복되는 원소가 있다면 하나만 저장하게 됩니다. 또한, 순서가 없기 때문에 list처럼 인덱스 번호를 사용하여 특정 값에 접근할 수 없습니다. set은 list나 문자열을 사용하여 생성할수 있으며 중괄호({, })로 나타냅니다. ​ a = set(['1', '2', '3', '4', '4']) print(a) 순서가 없기때문에 실행할때마다 순서가 바뀝니다. 또한 '4'의 경우 중복을 허용하지 않기때문에 하나만 출력됩니다. ​ b = set('hello') print(b) 생성자에 interable한 객체를 넣으면 set의 값으로 변환합니다. 'h', 'e', 'l', 'l', '..

    [Python] tuple(튜플), unpacking

    [Python] tuple(튜플), unpacking

    튜플은 리스트와 아주 비슷하지만 수정이 불가능한 점이 있습니다. 이전에 보았던 list와 앞으로 보게될 dictionary, set의 경우 여러개의 데이터를 담을수가 있는데 이중 tuple이 가장 단순한 자료형입니다. 소괄호((, ))로 데이터를 감써서 표현하며 마찬가지로 0개이상의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습니다. 대신 튜플을 한번 만들고 나면 수정하거나 내부의 데이터를 삭제할수도 없으며 프로그램 실행 중 절대로 변하지 않거나 변하면 안되는 것들이 있다면 튜플을 이용할수 있습니다. ​ a = tuple() print(a) 튜플을 함수를 이용하여 만든뒤 출력하게 되면 아무른 값이 들어있지 않은채 ()만 출력됩니다. ​ # a.append(1) # print(a) 지금은 제가 주석처리 해놓았지만 append속..